에너지 공학의 기본적인 원리 및 응용에 대한 제반기술을 광범위하게 이해시켜 전공분양에 대한 특성, 목표, 문제점들을 주지시킨다. 에너지 공학의 구성을 이루고 있는 각종 에너지 형태에 대한 기본 지식과 에너지 소재, 에너지 저장 그리고 에너지 변환, 에너지와 환경에 관한 전반적 기초지식을 강의한다.
회로이론1(Electric Circuit Theory 1)
저항,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전기소자 그리고 직류와 교류 전원에 대한 물리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이것들에 의하여 구성되는 전기회로의 기본이론인 기르호프의 전류와 전압법칙, 중첩의 원리 및 소자의 직병렬 결합 등을 학습한다.
C 프로그래밍(C Programming)
실습위주로 수업하며 C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 문법과 프로그래밍 방법을 습득한다. 프로그래밍 개념과 과정의 이해, 문제 해결 방법, 데이타 타입, 문자열, 연산자, 수식, 문장, 제어 구조, 함수 등을 포함하여 학습한다.
전자기학1(Electromagnetics 1)
본 과목은 전기에너지의 이용, 전달, 변환 등에 관련된 많은 과목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 수강해야 할 필수적인 과목이다. 전기회로에서 사용되는 R, L, C 등의 수동소자의 기능 및 역할, 전기기계에서 사용되는 회전력의 발생원리, 전기에너지변환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힘과 기전력의 발생원리 등과 관련되어 있다.
전자기학2(Electromagnetics 2)
정상전류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계의 세기를 구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자계가 존재하는 공간에서의 에너지, 인덕턴스와 전기기계에 많이 사용되는 자성체의 자화특성 등에 대한 해석방법을 배우고, 전류가 흐르는 도체에 인가되는 힘에 대해 배운다. 또한, 시변자계에 의해 발생하는 유기기전력과 와전류 등의 개념을 파악하게 하고 정량적인 계산을 할 수 있도록 기초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전자회로1(Electronic Circuits 1)
반도체 소자에 대한 기본 동작원리 및 관련 이론을 강의하고, 이를 활용한 기본 전자회로의 해석법을 다루어 향후 전자회로 해석 및 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학습한다. -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FET 등의 반도체 소자에 대한 기본 동작원리 -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FET 등 반도체 소자를 활용한 회로에 대한 해석법 - 반도체 소자를 활용한 설계 - 능동필터 등 OP AMP를 활용한 회로이 해석 및 설계
전자회로2(Electronic Circuits 2)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FET, A/D컨버터, D/A컨버터 연산증폭기 및 반도체 IC를 활용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및 시스템 설계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FET, A/D컨버터, D/A컨버터 연산증폭기 및 반도체 IC 회로 - 반도체 IC를 활용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및 시스템 설계 - 전자회로의 체계적인 설계 방식
공업수학1,2(Engineering Mathmatics1,2)
전기·전자 및 전기에너지 관련 전공학생들에게 이들의 전공분야에서 요구하는 수학의 기초개념과 기본원리를 강의를통하여 쉽게 이해하도록 함. 공학수학의 기본원리에 대한 이해를 통해, 수학이 관련 공학 분야에 어떻게 적용되는 지를 고찰함으로써, 이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할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
전기실험회로1,2(Electric Circuit Laboratory1,2)
오실로스코프의 사용법을 숙지하고 직류와 교류 전압 및 전류를 측정기법을 숙지하고 저항, 인덕터와 커패시터로 구성된 회로에 직류와 정현파 교류 전원을 인가하여 전기회로 이론들을 실험한다.
전기에너지기기1,2(Electrical machine for energy 1,2)
대부분의 에너지 이용 형태인 전기에너지 이용을 위한 기기를 배운다. 기계적인 에너지를 전기적인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와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하는 전동기, 전기에너지의 전달을 위한 변압기 등을 다룬다. 전기에너지기기를 변압기, 직류기, 유도기, 동기기 등으로 크게 분류하고 각각의 기기가 동작하는 원리를 이해하고 구조를 파악하도록 하며, 수학적으로 모델링해서 정상상태 동작을 해석할 수 있게 한다.
전자회로실험1,2(Electronic Circuit Laboratory1,2)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및 시스템 설계하고 실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FET, A/D컨버터, D/A컨버터 연산증폭기 등의 전자 소자를 실험한다.
에너지재료공학(Energy Materials Engineering)
화석연료의 정제와 제법, 수소 에너지 특성과 제법을 이해하고, 에너지 재료로서의 고분자 및 복합체 재료의 공학적 특성을 이해한다. 화석원료와 수소 에너지에서는 재료의 성질과 제법을 중심으로, 그리고 태양전지, 2차 전지, 연료전지와 같은 에너지 재료 분야에서는 재료의 공학적 원리를 중심으로 에너지재료공학의 기본개념을 다룬다.
전력전자공학(Power Electronics Engineering)
전력변환의 기본원리와 전력회로에 대하여 다루고 스위칭의 기본개념을 배우고, DC-DC, AC-DC 컨버터 회로의 동작원리와 해석법 등을 다루어 설계에 적용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또한 전문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도 배운다. - 전력변환의 기본원리와 전력회로의 개념 - 기본 컨버터 회로에 대한 스위칭의 기본개념 - DC-DC, AC-DC, 컨버터 회로의 동작원리, 해석법 및 설계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Microprocessor Applications)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기본 구조, 주변장치 및 컴파일러에 관한 사항을 이해하고 디지털 하드웨어 시스템 제작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어셈블리와 C 언어 프로그래밍을 하는 기법을 학습한다. 실험 실습위주로 학습한다.
기술창업론(Technology Business start up)
기술분야의 창업시 필요한 창업이념 및 목표, 창업아이템 선정, 사업성분석, 사업계획서 작성을 종합하여 회사설립과 설립절차까지의 창업분야 이론과 실무를 학습하고자 한다.
전기화학(Electrochemical Engineering)
화학적 현상 중 이온상호작용과 계면현상 등의 기초적인 전기화학 이론을 습득하고 여기에서 유도된 각종 전기화학적 분석과 합성의 기본원리에 대해 배우고, 전극반응속도론과 광전기화학, 바이오센서 등의 주제를 설명한다. 이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이차전지, 에너지저장시스템등 전기화학을 이용한 각종 에너지 관련 분야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열역학(Thermodynamics)
열역학 과목은 에너지 생산, 수송, 저장, 변환, 이용등 각 단계, 전체 공정에 있어서 각 종의 에너지 종류를 구분하며, 각 단계의 에너지 전환과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각각의 에너지 양을 결정하고, 에너지 전환 가능성과 그 효율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에너지 생산 및 활용함에 있어 전 과정에 늘 에너지 전환이 필수인데 이에 관한 학문이다.
제어공학1(System Control Engineering 1)
제어대상 또는 플랜트가 원하는 출력이 나오는 입력을 생성하는 제어기를 설계하는 것이 제어공학이다. 시스템과 신호를 해석하기 위하여 연속시간과 이산시산에 대한 컨벌루션, 퓨리에 변환, 라플라스 변환 및 Z변환을 학습한다. 제어대상의 물리적인 시스템을 미분방정식으로 모델링하고 이것을 상태공간 변수로 변환하는 기법을 학습한다.
전력전자공학에서 배운 DC-DC 컨버터 중에서 하나이 컨버터를 정하여 제어기회로를 포함한 실험위주로 학습한다. 컨버터의 시뮬레이션, 각종 소자의 선정법, 인덕터의 설계, PWM IC에 대해서도 배운다.
현장실습(field placement)
현장 적응력과 창의력을 지닌 인재양성을 위해 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토대로 현장에서 실습을 실시하여 습득지식을 활용하고 응용 할 기회를 갖도록 한다.
에너지저장공학(Energy Storage Engineering)
최근신재생에너지 발전에 따른 에너지 공급상의 변동성 문제와 전기자동차 및 전기기기 확대에 의한 수요증가로 전력 수급의 불균형 및 변동성 심화와 급증하는 에너지 수요에 따른 에너지 저장 요구가 급속히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에너지저장시스템(ESS)시장이미래에너지산업의근간으로부상하고있다.이에본강의는이러한필요성에발맞추어다양한에너지저장시스템-전기 에너지 저장시스템, 역학적 에너지 저장 시스템, 열에너지 저장시스템등에대해학습한다.
전지공학(Battery Technology)
일차전지와 이차전지의 기본 원리를 파악하고 각종 전지종류별 특징과 용도를 이해한다. 스마트 IT기기의 보급 확대, 글로벌 연비규제 강화, 신재생에너지와 연계된 스마트그리드 구축 등으로 전지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므로 이와 연관된 산업동향에 대한 분석과 차세대 전지인 Redox Flow battery등의 최신 발전 동향에 대해 강의한다.
제어공학2(System Control Engineering 2)
선형 시스템에 대한 시간영역과 주파수 영역에 대한 응답특성, 성능 평가, 안정도 특성 등을 학습한다. 제어 시스템의 안정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보드선도와 근궤적법, 나이퀴스트 기법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 다양한 제어방식을 소개하고 비례제어기, 미분제어기, 적분제어기를 중점적으로 학습한다.
에너지변환및실습(Energy Conversion)
전기에너지기기 이론에서 배운 직류기, 유도기, 동기기, 변압기 등의 구조를 실습을 통하여 이해하고, 정상상태에서의 유기전압, 전류, 토오크 및 회전수, 전압-전류 특성 등의 동작특성 측정하고 분석 할 수 있도록 한다.
공학 문제의 선정, 해결 방법의 모색, 제품의 설계와 구현, 그리고 보고서 작성의 모든 단계를 수강생들이 직접 수행함으로써 창의적으로 공학 문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전공에 연관된 졸업 작품을 제작하기 위한 계획서를 작성하고, 그 계획에 따라 작품을 설계 제작하고 보고서를 작성한다.
시스템프로그래밍(System Programing)
수치해석의 기초를 익힌 다음, 시스템프로그래밍 도구인 MATLAB을 사용하여 선형대수학, 행렬, 미분방정식, 그리고 열에너지 전달현상 문제를 풀이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에너지환경공학(Energy Environment Engineering)
태양광발전과전기자동차시대가왔다.에너지문제가곧 환경문제이다.지구온난화에의한기후변화와미세먼지와같은환경오염문제해결도결국에너지문제를해결하는것에달려있다.그래서본과목은신재생에너지들을 이해하고 특히 태양광발전 그리고 전기자동차의 에너지원 및 구성에관한내용을 중심으로다룬다.청정에너지,신재생에너지및지속가능한에너지시대를이끄는에너지공학분야에대한강의이다.
전기에너지전송(Electric Power Transmission)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선로를 통하여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수용가까지 전송하기 위한 송배전의 고려사항과 전력계통의 이론를 학습한다. 주요 학습내용은 송전선로에서의 전압-전류 관계식, 전력조류 계산법, 주파수-유효전력제어, 대칭/비대칭 고장전류 계산 등이다.
지능학습 (Machine learning)
기계학습은 컴퓨터가 사람의 뇌처럼 사물이나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 기계학습의 근간 알고리즘은 인간의 뉴런 구조를 본떠 만든 신경망이며 본 강의에서는 신경망의 기본적인 이론을 학습한다. 주요한 학습 내용은 신경망을 위한 수학 기초, 신경망 최적화, 신경망의 오차역전파법 및 딥러닝 등이다.